<연민의 깊은 여정>에 관한 테드 강연
A human child is born, and for quite a long time is a consumer. It cannot be consciously a contributor. It is helpless. It doesn't know how to survive, even though it is endowed with an instinct to survive. It needs the help of mother, or a foster mother, to survive. It can't afford to doubt the person who tends the child. It has to totally surrender, as one surrenders to an anesthesiologist.
It has to totally surrender. That implies a lot of trust. That implies the trusted person won't violate the trust. As the child grows, it begins to discover that the person trusted is violating the trust. It doesn't know even the word "violation." Therefore, it has to blame itself, a wordless blame, which is more difficult to really resolve -- the wordless self-blame.
As the child grows to become an adult: so far, it has been a consumer, but the growth of a human being lies in his or her capacity to contribute, to be a contributor. One cannot contribute unless one feels secure, one feels big, one feels: I have enough.
To be compassionate is not a joke. It's not that simple. One has to discover a certain bigness in oneself. That bigness should be centered on oneself, not in terms of money, not in terms of power you wield, not in terms of any status that you can command in the society, but it should be centered on oneself. The self: you are self-aware. On that self, it should be centered -- a bigness, a wholeness. Otherwise, compassion is just a word and a dream.
You can be compassionate occasionally, more moved by empathy than by compassion. Thank God we are empathetic. When somebody's in pain, we pick up the pain.
In a Wimbledon final match, these two guys fight it out. Each one has got two games. It can be anybody's game. What they have sweated so far has no meaning. One person wins. The tennis etiquette is, both the players have to come to the net and shake hands. The winner boxes the air and kisses the ground, throws his shirt as though somebody is waiting for it. And this guy has to come to the net. When he comes to the net, you see, his whole face changes. It looks as though he's wishing that he didn't win. Why? Empathy.
That's human heart. No human heart is denied of that empathy. No religion can demolish that by indoctrination. No culture, no nation and nationalism -- nothing can touch it because it is empathy. And that capacity to empathize is the window through which you reach out to people, you do something that makes a difference in somebody's life -- even words, even time.
Compassion is not defined in one form. There's no Indian compassion. There's no American compassion. It transcends nation, the gender, the age. Why? Because it is there in everybody. It's experienced by people occasionally.
Then this occasional compassion, we are not talking about -- it will never remain occasional. By mandate, you cannot make a person compassionate. You can't say, "Please love me." Love is something you discover. It's not an action, but in the English language, it is also an action. I will come to it later.
So one has got to discover a certain wholeness. I am going to cite the possibility of being whole, which is within our experience, everybody's experience. In spite of a very tragic life, one is happy in moments which are very few and far between. And the one who is happy, even for a slapstick joke, accepts himself and also the scheme of things in which one finds oneself.
That means the whole universe, known things and unknown things. All of them are totally accepted because you discover your wholeness in yourself. The subject -- "me" -- and the object -- the scheme of things -- fuse into oneness, an experience nobody can say, "I am denied of, " an experience common to all and sundry.
That experience confirms that, in spite of all your limitations -- all your wants, desires, unfulfilled, and the credit cards and layoffs and, finally, baldness -- you can be happy. But the extension of the logic is that you don't need to fulfill your desire to be happy. You are the very happiness, the wholeness that you want to be.
There's no choice in this: that only confirms the reality that the wholeness cannot be different from you, cannot be minus you. It has got to be you. You cannot be a part of wholeness and still be whole. Your moment of happiness reveals that reality, that realization, that recognition: "Maybe I am the whole. Maybe the swami is right.
Maybe the swami is right." You start your new life. Then everything becomes meaningful. I have no more reason to blame myself. If one has to blame oneself, one has a million reasons plus many. But if I say, in spite of my body being limited -- if it is black it is not white, if it is white it is not black: body is limited any which way you look at it. Limited.
Your knowledge is limited, health is limited, and power is therefore limited, and the cheerfulness is going to be limited. Compassion is going to be limited. Everything is going to be limitless. You cannot command compassion unless you become limitless, and nobody can become limitless, either you are or you are not. Period. And there is no way of your being not limitless too.
Your own experience reveals, in spite of all limitations, you are the whole. And the wholeness is the reality of you when you relate to the world. It is love first. When you relate to the world, the dynamic manifestation of the wholeness is, what we say, love. And itself becomes compassion if the object that you relate to evokes that emotion. Then that again transforms into giving, into sharing. You express yourself because you have compassion.
To discover compassion, you need to be compassionate. To discover the capacity to give and share, you need to be giving and sharing. There is no shortcut: it is like swimming by swimming. You learn swimming by swimming. You cannot learn swimming on a foam mattress and enter into water. You learn swimming by swimming. You learn cycling by cycling. You learn cooking by cooking, having some sympathetic people around you to eat what you cook.
And, therefore, what I say, you have to fake it and make it. You need to. My predecessor meant that. You have to act it out. You have to act compassionately.
There is no verb for compassion, but you have an adverb for compassion. That's interesting to me. You act compassionately. But then, how to act compassionately if you don't have compassion? That is where you fake. You fake it and make it. This is the mantra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You fake it and make it. You act compassionately as though you have compassion: grind your teeth, take all the support system. If you know how to pray, pray. Ask for compassion. Let me act compassionately. Do it. You'll discover compassion and also slowly a relative compassion, and slowly, perhaps if you get the right teaching, you'll discover compassion is a dynamic manifestation of the reality of yourself, which is oneness, wholeness, and that's what you are.
With these words, thank you very much.
<연민의 깊은 여정>에 관한 테드 강연 번역
인간의 아이가 태어나고, 꽤 오랫동안 소비자입니다. 그것은 의식적으로 기여자가 될 수 없습니다. 속수무책입니다. 살아남기 위한 본능은 타고났지만 어떻게 살아남아야 할지 모릅니다. 살아남기 위해서는 엄마, 혹은 위탁모의 도움이 필요합니다. 아이를 돌보는 사람을 의심할 여유가 없습니다. 마취과 전문의에게 항복하는 것처럼 완전히 항복해야 합니다.
완전히 항복해야 해요 그것은 많은 신뢰를 의미합니다. 그것은 신뢰받는 사람이 신뢰를 저버리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아이가 자라면서 믿었던 사람이 신뢰를 저버리고 있다는 것을 발견하기 시작합니다. "폭행"이라는 단어도 모르잖아요 그러므로, 그것은 스스로 비난해야 합니다. 말없는 비난이요, 그것은 정말로 해결하기 더 어려운 것입니다. 말없는 자책이요.
아이가 성장해 어른이 되면, 지금까지는 소비자였지만, 인간의 성장은 기여하는 능력, 기여하는 능력에 달려 있습니다. 안전하다고 느끼지 않으면 기여할 수 없습니다 난 충분히 가지고 있어요.
동정심을 갖는 것은 농담이 아니다. 그건 간단한 문제가 아니에요. 사람은 자기 자신 안에서 어떤 결점을 발견해야 합니다. 그 인격은 돈, 자신이 휘두르는 권력이 아니라 사회에서 어떤 지위가 지휘할 수 있는 지위가 아니라 자신을 중심으로 해야 합니다. 자아: 여러분은 자각하고 있습니다. 그 자신에 대해, 중심이 맞춰져야 합니다. 양면성, 전체성. 그렇지 않으면 연민은 말과 꿈일 뿐입니다.
여러분은 때때로 동정심을 가질 수 있습니다, 동정보다는 공감에 의해 더 감동받을 수 있습니다. 우리가 공감해서 다행이에요. 누군가 아프면, 우리는 고통을 받아요.
윔블던 결승전에서, 이 두 남자는 끝까지 싸웁니다. 한 명당 두 게임씩 있습니다. 아무나 할 수 있는 게임이에요. 그들이 지금까지 흘린 땀은 아무런 의미가 없습니다. 한 명이 이겼습니다. 테니스 에티켓은 두 선수 모두 네트로 나와 악수를 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승자는 허공을 치고 땅에 입을 맞추고, 누군가 기다리고 있는 것처럼 셔츠를 던집니다. 그리고 이 녀석은 네트로 와야 합니다. 네트에 오르면 얼굴 전체가 변해요 마치 자신이 이기지 못하길 바라는 것 같아요. 왜요? 공감입니다.
그게 사람의 마음이에요. 그 공감에 부정되는 인간의 마음은 없습니다. 어떤 종교도 세뇌를 통해 그것을 무너뜨릴 수 없습니다. 어떤 문화도, 어떤 국가도, 그리고 민족주의도 그것을 건드리지 못합니다. 왜냐하면 그것은 공감이기 때문입니다. 공감할 수 있는 능력은 사람들에게 다가갈 수 있는 창입니다. 여러분은 누군가의 삶에 변화를 주는 무언가를 합니다. 심지어 말이나 시간까지도요.
동정심은 하나의 형태로 정의되지 않습니다. 인도인의 동정심은 없습니다. 미국인의 동정심은 없어요 국가, 성별, 나이를 초월합니다. 왜일까요? 왜냐하면 그것은 모든 사람 안에 있기 때문입니다. 그것은 가끔 사람들에게 경험됩니다.
그리고 이 때론 동정심이, 우리가 말하고 있는 것이 아닙니다-- 결코 때론 남아있지 않을 것입니다. 의무적으로 사람을 동정하게 할 수는 없습니다. "제발 사랑해주세요"라고 말할 수 없습니다. 사랑은 발견하는 것입니다. 액션이 아니라 영어로는 액션이기도 합니다. 나중에 찾아뵙겠습니다.
그래서 사람은 확실한 총체성을 발견해야 합니다. 저는 우리의 경험, 모두의 경험 속에 있는 온전함의 가능성을 언급할 것입니다. 매우 비극적인 삶에도 불구하고, 사람은 매우 적고 먼 순간에 행복합니다. 그리고 슬랩스틱 농담에도 행복한 사람은 자신과 자신을 발견하는 계획을 받아들입니다.
그것은 전 우주, 알려진 것과 알려지지 않은 것을 의미합니다. 그 모든 것들은 당신 스스로에게서 총체성을 발견하기 때문에 완전히 받아들여집니다. 주제 -- "나"와 대상 -- 사물의 구조는 일체성으로 융합됩니다. 아무도 "나는 거부당한다"고 말할 수 없는 경험, 즉 모두에게 공통적인 경험입니다.
그 경험은 여러분의 모든 한계에도 불구하고, 여러분이 원하는 것, 욕망, 채워지지 않은 것, 신용카드와 정리해고 그리고 마지막으로 대머리가 행복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시켜줍니다. 하지만 이 논리의 연장선은 행복해지고 싶은 욕망을 채울 필요가 없다는 것입니다. 당신은 당신이 되고 싶은 바로 그 행복, 총체적인 사람입니다.
선택의 여지가 없습니다. 단지 모든 것이 당신과 다를 수 없고, 당신을 빼놓을 수 없다는 현실을 확인하는 것입니다. 당신이어야 해요. 당신은 전체의 일부가 될 수 없고 여전히 온전할 수 없습니다. 당신의 행복의 순간은 현실, 깨달음, 인식을 드러냅니다. "아마도 나는 전체일 것이다. 아마 스와미가 맞을 거예요.
스와미가 맞을지도 몰라요." 새로운 삶을 시작하세요. 그러면 모든 것이 의미 있게 됩니다. 저는 더 이상 제 자신을 탓할 이유가 없습니다. 자신을 탓해야 한다면, 사람은 수많은 이유와 많은 이유들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제 몸이 한정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 흑인이라면 백인이 아니고, 백인이라면 흑인이 아닙니다: 몸은 어떤 방식으로 보든지 제한적입니다. 한정되어 있습니다.
여러분의 지식도, 건강도 한계가 있고, 따라서 힘도 한계가 있고, 명랑함도 한계가 있을 것입니다. 동정심은 제한될 것입니다. 모든 것은 무한할 것입니다.
당신이 무한해지지 않는 한 당신은 연민을 명령할 수 없습니다. 그리고 누구도 무한해질 수 없습니다. 당신이든 아니든. 마침표를 찍습니다. 그리고 당신이 무한하지 않을 방법은 없어요.
당신의 경험은 모든 한계에도 불구하고 당신이 전체라는 것을 드러냅니다. 그리고 당신이 세상과 관계를 맺을 때 그 전체는 당신의 현실입니다. 사랑이 우선입니다. 당신이 세상과 관계를 맺을 때, 전체의 역동적인 표현은 우리가 말하는 사랑입니다. 그리고 만약 당신이 관련된 대상이 그 감정을 불러일으키면 그 자체가 연민이 됩니다. 그리고 그것은 다시 베푸 기와 나눔으로 변합니다. 당신은 동정심이 있기 때문에 자신을 표현합니다.
동정심을 발견하기 위해서는 동정심이 필요합니다. 베풀고 나눌 수 있는 능력을 발견하려면 베풀고 나누어야 합니다. 지름길은 없습니다: 수영으로 수영하는 것과 같습니다. 당신은 수영을 통해 수영을 배웁니다. 발포 매트리스 위에서는 수영을 배울 수 없고 물에 들어갈 수 없습니다. 당신은 수영을 통해 수영을 배웁니다. 당신은 사이클링을 통해 배웁니다. 요리를 하면서 배우게 되고, 주변에 동정심 많은 사람들이 당신이 만든 요리를 먹어보게 됩니다.
그래서 제가 하는 말은 거짓으로 만들어서 만들어야 합니다. 그래야죠. 제 전임자 말이 그런 뜻이었어요. 연기해야 돼요. 당신은 인정있게 행동해야 합니다.
동정이라는 동사는 없지만, 당신은 동정이라는 부사가 있습니다. 저는 그게 흥미롭네요. 당신은 인정 있게 행동하는군요. 그런데 연민이 없다면 어떻게 연민을 가지고 행동해야 할까요? 그게 당신이 속이는 부분이에요. 가짜로 만들어서 만드는 거죠 이것은 미국의 만트라입니다.
가짜로 만들어서 만드는 거죠 당신은 동정심이 있는 것처럼 친절하게 행동합니다: 이를 갈고, 모든 지원 체계를 받으세요. 기도할 줄 안다면 기도하세요. 동정심을 구하세요. 인정 있게 행동하게 해 주세요. 해보세요. 여러분은 동정심과 천천히 상대적인 연민을 발견할 것입니다. 그리고 만약 여러분이 올바른 가르침을 받는다면, 여러분은 동정심이 여러분 자신의 실체를 역동적으로 표현한 것이라는 것을 발견할 것입니다. 바로 유일함, 완전함, 그리고 그것이 여러분입니다.
이렇게 말씀하시니 정말 감사합니다.
'해외 강의 번역'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칼오노래의 <느림에 대한 칭찬> 강연 번역(Carl Honoré) (0) | 2022.03.05 |
---|---|
<젊은 반란군 시절> 주제 테드 강연(프랭크 게리, Frank Gehry) (0) | 2022.03.03 |
<조절식 액체 충전 안경> 테드 강의 번역(Joshua Silver, 조슈아 실버) (0) | 2022.03.02 |
<우리는 부당함에 대해 이야기 할 필요가 있다> 주제 테드 강의 번역(브라이언 스티븐슨, Bryan Stevenson) (0) | 2022.03.02 |
<맨발의 움직임에서 배우다> 주제 테드 강연 번역(벙커로이, Bunker Roy) (0) | 2022.03.01 |